리빙&헬스

기억력보다 ‘이 증상’이 먼저! 초로기 치매 전조 신호

고쌤93 2025. 5. 6. 21:56
반응형
초로기 치매,
조기 발견이 핵심입니다


초로기 치매란?

초로기 치매는 20~64세 사이 비교적 젊은 연령에서 발병하는 치매를 통칭합니다. 유전적 요인 등으로 인해 심지어 20대에서 진단되는 사례도 있으며, 결코 드문 질환이 아닙니다.

중앙치매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초로기 치매 환자 수는 약 7만 7천여 명, 전체 치매 환자의 약 7.7%를 차지합니다.

초기 진행 속도가 빠르고 사망률도 높아, 조기 발견과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


주요 초기 증상

초로기 치매는 흔히 생각하는 '기억력 저하'보다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먼저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.

• 시각 정보 처리 장애: 뇌가 시각 정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 사물이 왜곡되어 보이거나 공간 지각에 혼란이 생깁니다.

• 동작 조절 문제: 예를 들어, 옷의 단추를 제대로 채우지 못하거나, 일상적인 손동작이 서툴러집니다.

• 언어 기능 저하: 말하는 속도가 느려지거나, 단어 선택이 어려워지고, 문장 구성이 매끄럽지 않아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.

• 성격 및 사회성 변화: 무관심해지거나 공감 능력이 떨어지는 등의 감정 변화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
초로기 치매와 노년기 치매의 차이점


원인과 치료 가능성

초로기 치매의 원인은 다양합니다.

• 치료 가능한 원인: 비타민 B12, 엽산 결핍, 정상압수두증, 우울증 등은 조기 치료 시 호전이 가능합니다.

• 비가역적 원인: 유전성 알츠하이머병, 루이체 치매 등은 완치가 어렵지만, 조기 치료로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.

의사는 원인 감별 후, 알츠하이머와 유사한 방식으로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 등의 약물 치료를 병행하게 됩니다.


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예방법 10가지

초로기 치매는 약물 외에도 생활 습관 개선이 예방과 진행 억제에 매우 중요합니다. 아래는 도움이 되는 수칙입니다:

• 고혈압, 당뇨, 심장병 등 만성질환 관리
• 흡연 및 과음 피하기
• 우울증 치료받기
• 취미생활 꾸준히 유지하기
• 머리 외상에 주의하기
• 약물 남용 피하기
• 갑작스런 환경 변화 줄이기
• 가능한 일상생활은 스스로 처리하기
• 주 3회 이상, 하루 30분 이상 운동하기
• 균형 잡힌 식습관 유지하기


젊다고 방심하지 말자

초로기 치매는 노인들만의 병이 아닙니다.

젊은 나이에 나타날 수 있고, 그 시작은 기억력 저하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.

평소보다 시야가 불편하거나 말이 어눌해지고, 행동이 어색하게 느껴진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.

조기 진단이 곧 삶의 질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.




#초로기치매
#젊은치매
#치매초기증상
#기억력저하
#전두엽기능저하
#언어장애
#시각이상
#치매예방
#조기진단중요
#건강정보
#초로기치매증상
#조기알츠하이머원인
#초기치매자가진단
#젊은치매위험신호
#치매예방음식
#치매진행속도
#치매치료방법
#치매간병팁
#뇌건강관리
#치매조기검진



반응형